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8)
Trendelenburg test 트렌델렌버그 검사 방법과 결과 해석 Trendelenburg test 트렌델렌버그 검사에는 두 가지가 있다 1) 골반의 불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트렌델렌버그 테스트 검사 방법 피검자 뒤에 서서 한 쪽 다리를 들고 유지하도록 한다. 이 때 근육이 약해져 골반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없다면 지면에 떠 있는 다리의 골반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다. 이를 트렌델렌버그 징후라고 한다. 이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 몸통은 지면을 지지하고 있는 다리 쪽으로 기울어져 보인다. 결과 해석 트렌델렌버그 징후(Trendelenburg sign)가 나타나는 경우 고관절 외전근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. 이는 선천적인 고관절 탈구, 류마티스 관절염, 골관절염 등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. 2) 하지정맥류를 알아보기 위한 트렌델렌버그 테스트 (브로디-트렌델렌버그 테스..
'영양부족' 간호과정 NANDA 난다 ( 간호목표 / 간호중재 / 이론적 근거 ) 안녕하세요! 난다 2018-2020에 있는 '영양부족'에 대해서 간호과정을 적용해보려고 합니다. 체중감소, 전해질 불균형, I/O, 식사량 등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영양부족이라는 진단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아요. 원인을 해결해주는 것도 방법이지만 오늘은 영양부족에 포커스를 맞춰서 넓게 접근해볼게요.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! 영양부족 정의 :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한 영양섭취상태 Imbalanced nutrition: Less than body requirements 간호목표 - 대상자는 n일 내로 영양 섭취의 중요성을 말한다. - 대상자의 알부민 수치가 n일 내로 정상 범위로 돌아온다. - 대상자의 식사량이 n일 내로 m만큼 증가한다.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진단적 중재 대상자의 식사량을 사정한다...
NANDA 난다 간호진단 2018-2020 목록 https://casestudy.pages.dev/ 가상 환자 케이스 생성기 casestudy.pages.dev 환자 정보 케이스 필요할 때 사용해보세요! NANDA-I (2018~2020) 간호진단 목록 영역 1. 건강증진 안녕이나 정상 기능에 대한 의식과 안녕이나 정상 기능을 유지 ·조절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 영역 1. 건강증진(Health promotion) ​ 과 1. 건강인식 여가활동 부족 건강지식 증진 가능성 좌식 생활양식 ​ 과 2. 건강관리 취약노인 증후군 취약노인 증후군 위험성 지역사회 건강결여 위험한 건강행위 비효과적 건강유지 비효과적 건강관리 건강관리 증진 가능성 비효과적 가족 건강관리 방어능력 저하 ​ ​ 영역 2. 영양 섭취, 소화와 조직을 유지하고 재생하며 에너지를..